B2B영업 계약은 과정이고, 관계가 자산이다(3/5)
본문
가격 협상, 수치가 아니라 신뢰의 문제
영업에서 가장 흔히 듣는 말이 있습니다.
“다른 데는 이 가격보다 싸게 준다는데요?”
처음엔 속이 뜨끔합니다. 준비한 견적표가 무용지물이 되는 순간 같죠.
하지만 오래 하다 보면 알게 됩니다. 가격이 문제가 아닙니다. 신뢰가 문제입니다.
고객은 단순히 숫자를 깎고 싶은 게 아닙니다.
“이 사람, 믿을 만한가?”
“이 계약이 문제 없이 끝까지 갈 수 있을까?”
결국은 이걸 확인하고 싶은 겁니다.
가격은 그 확인 과정에서 쓰는 도구일 뿐입니다.
제가 현장에서 자주 하는 말이 있습니다.
“가격은 맞춰드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건 도입 후 6개월 뒤에도 이 시스템이 제대로 돌아가는가 하는 겁니다.”
처음엔 다들 의심합니다. 그래도 상대가 진심이라고 느끼는 순간, 가격 이야기는 서서히 옆으로 밀려납니다.
경쟁사 견적서를 들고 오는 경우도 많습니다.
똑같은 센서, 똑같은 서버 사양, 똑같은 설치 일정.
하지만 고객이 놓치는 게 있습니다.
그 똑같음 뒤에 숨어 있는, 설치 후 대응력과 유지보수 태도입니다.
제가 보여줘야 할 건 바로 그 차이입니다.
협상은 이기는 게 목적이 아닙니다.
서로 믿음을 주고받으면서 ‘같이 가자’는 합의점을 찾는 과정입니다.
그래서 저는 숫자 대신 사례를 꺼냅니다.
“지난번 ○○업체도 초기에 비용을 많이 고민하셨는데, 지금은 생산 라인이 안정돼서 불량률이 절반으로 줄었습니다.”
이 말 한마디가 견적서 열 장보다 더 큰 힘을 냅니다.
가격 협상 테이블에 앉으면 초보들은 수치를 두고 줄다리기를 합니다.
하지만 고수들은 압니다.
줄다리기의 승자는 숫자가 아니라 신뢰라는 것을.
- 이전글계약은 과정이고, 관계가 자산이다(4/5) 25.08.26
- 다음글계약은 과정이고, 관계가 자산이다(2/5) 25.08.2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나라면' 이 상황에서 **고객이 스스로 '문제가 없다'고 믿는 현재의 안전지대가 사실은 가장 위험한 곳임을 깨닫게 할 것**입니다.
브랜드 인지도가 낮고 가격이 비싼 상황에서, 단순히 기능 자랑이나 ROI 설명만으로는 '다음에'라는 대답을 피할 수 없습니다.
---
## 나라면 취할 3가지 행동 (판을 뒤집는 질문과 제안)
김민준 매니저님이 "다시 한번 논의해 보겠습니다"라고 말한 직후, 저는 침묵을 깨고 다음과 같은 질문과 제안으로 미팅의 초점을 **'현상 유지의 리스크'**로 완전히 돌릴 것입니다.
### 1. 현상 유지의 **숨겨진 비용 (기회비용)** 도발하기
**행동:** 지금 운영 중인 시스템이 완벽해 보여도, 그 완벽함을 유지하는 데 드는 **'인력의 기회비용'**을 자극합니다.
* **멘트:** "매니저님, 오늘 말씀 들어보니 현재 시스템 운영이 정말 안정적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질문 하나만 드려도 될까요? **혹시 김민준 매니저님과 팀원들이 지금 운영 유지에 매달리는 시간 중, 그룹사의 **미래 성장 동력**이나 **경쟁사와의 격차**를 벌릴 혁신적인 프로젝트에 투입되어야 할 시간은 어느 정도라고 보십니까?** 저희 솔루션은 단순히 장애를 줄이는 게 아니라, 바로 그 **'미래를 위한 시간'**을 벌어드리는 투자입니다."
* **효과:** '문제 없음' $\rightarrow$ **'가장 중요한 것을 놓치고 있음'**으로 인식을 전환시킵니다.
### 2. **브랜드 인지도**를 **'검증된 성과'**로 치환하기
**행동:** 낮은 브랜드 인지도는 강력한 레퍼런스(추천 고객사)로 커버하고, 고객의 고민을 구체적인 데이터로 해결해 줍니다.
* **멘트:** "저희 브랜드 인지도가 낮아 확신이 안 서시는 점 이해합니다. 하지만 저희를 강력하게 추천해주신 $\text{A}$사 ($\text{IT}$팀) 팀장님께 저희가 오늘 말씀드린 가치들이 $\text{A}$사에서는 **'실제로 **$\text{XX}\%$**의 운영 비용 절감과 **$\text{YY}$**일의 신규 서비스 출시 단축'으로 이어졌다는 구체적인 벤치마킹 데이터**를 요청드려도 될까요? 매니저님 팀의 검토 자료에 **'이미 검증된 객관적인 성과'**를 더해드리겠습니다."
* **효과:** 브랜드의 약점 $\rightarrow$ **검증된 성공 사례**로 전환하여 확신을 줍니다.
### 3. **'위험 회피'를 명분으로 다음 단계 확정**하기
**행동:** 내부 논의를 기다리기보다, 고객이 스스로 리스크를 인지할 수 있는 '맞춤형 진단 자료'를 제공할 것을 제안하여 다음 미팅을 선점합니다.
* **멘트:** "매니저님, 내부 논의 시간을 충분히 드리겠습니다. 그 전에 저희가 한 가지만 더 도와드릴 수 있습니다. **'현재 시스템을 유지했을 때 1년 뒤 귀사에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보안 리스크'**와 **'경쟁사와의 격차 리포트'**'를 귀사 환경에 맞춰 시뮬레이션 해드리겠습니다. 이 자료는 순수한 **'위험 회피 및 전략 보고서'**로 활용하실 수 있으며, 저희 솔루션 도입 필요성을 객관적으로 증명할 근거가 될 것입니다. 다음 주 화요일 오후에 이 보고서를 가지고 다시 찾아뵙고 15분만 설명드릴 수 있을까요?"
* **효과:** 미팅 종료 $\rightarrow$ **고객 맞춤형 후속 조치**로 연결하며 **'필요성 논의'의 주도권**을 다시 가져옵니다.10.04 - 잘썼어요10.02
- 나라면, 김 대표님이 언급하신 내부 검토 포인트를 먼저 묻겠습니다.
“대표님, 내부 검토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다루실 부분은 기술적 안정성일까요, 비용일까요?” 같은 질문으로 대화를 열어 두는 거죠.
동시에 과거 이슈에 대한 우려를 덜어드릴 수 있도록 “저희가 이번에 개선한 부분을 공유드려도 될까요?”라고 제안하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검토의 방향을 구체화시키면서 대화를 이어갈 수 있을 겁니다10.02 - 나라면, 김 대표님이 언급하신 내부 검토 포인트를 먼저 묻겠습니다.
“대표님, 내부 검토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다루실 부분은 기술적 안정성일까요, 비용일까요?” 같은 질문으로 대화를 열어 두는 거죠.
동시에 과거 이슈에 대한 우려를 덜어드릴 수 있도록 “저희가 이번에 개선한 부분을 공유드려도 될까요?”라고 제안하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검토의 방향을 구체화시키면서 대화를 이어갈 수 있을 겁니다.10.02 - ddddddd10.01
- ddds10.01
- 제가 놓치고 있던 것을 알게 됐습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