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2B영업 발로 뛰며 배운 것들, 오늘 하루 기록
본문
아침에 지하철역 앞에서 내려 가방을 메고 걸어가는데, 문득 든 생각이 있습니다.
“오늘은 몇 군데에서 내 명함을 받아줄까.”
영업 시작한 지 몇 년 되지 않았지만, 하루를 이렇게 발품으로 채우는 게 이제는 습관이 되었습니다.
솔직히 말하면, 처음 영업 시작했을 땐 방법을 몰랐습니다.
자료를 들고 찾아가면 뭔가 달라질 줄 알았는데, 10군데 중 9군데는 문전박대.
“필요 없습니다.”라는 말은 이제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었죠.
그런데도 이상하게, 하루를 뛰고 나면 ‘내가 오늘 뭘 잘못했을까?’ 계속 되짚게 됩니다.
그 과정에서 조금씩 방법이 바뀌었고, 요즘은 나름대로 요령도 생겼습니다.
1. 문 열고 들어가는 순간, 절반은 결정된다
문을 열고 들어가는 그 순간이 가장 중요하더군요.
처음에는 “안녕하세요~ 지나가다 들렀습니다” 같은 가벼운 멘트를 썼습니다.
결과는 뻔했습니다.
고개를 저으며 쿨 하게, 그냥 안듣습니다.^^
그러다 찾은 밥법이
문을 열자마자 허리를 숙이고, 목소리를 낮추고, 짧지만 진지하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잠깐 인사드리고 싶어 왔습니다. 2분만 시간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 말 한마디에 분위기가 확 달라집니다.
가볍게 웃으며 들락날락하는 ‘홍보 전단 돌리는 사람’ 취급을 받는 게 아니라, 최소한 ‘진지하게 온 사람’으로 보더군요.
명함을 건네받는 확률이 확실히 올라갔습니다.
2. 자료는 얇아야, 그래야 진짜 읽힌다
저는 한때 20페이지짜리 두툼한 브로슈어를 들고 다녔습니다.
받는 분들 표정은 항상 똑같았습니다.
“이걸 언제 다 보지…” 하고 바로 서랍 속으로 들어갑니다.
그래서 요약본을 한 장짜리로 만들었습니다.
‘이 서비스가 뭔지, 고객에게 어떤 점이 이득인지’만 딱 적은 한 장짜리.
그걸 건네면 적어도 한번은 훑어보더군요.
자료가 얇아야 눈길을 줍니다.
그리고 그 한 장 때문에 다시 전화를 받을 확률도 생깁니다.
3. 거절도 두 종류가 있다
“필요 없습니다.”
똑같은 말 같지만 들어보면 다릅니다.
-
습관적 거절: 시선은 다른 데 있고, 말투가 빠릅니다. 이런 경우는 다시 와도 됩니다.
진짜 거절: 눈을 똑바로 보면서 단호하게 말합니다. 이럴 땐 시간 낭비하지 말고 바로 다음으로 넘어가야 합니다.
처음에는 이걸 구분 못 해서 같은 곳을 여러 번 들락날락했는데, 요즘은 소리만 들어도 감이 옵니다.
“아, 여긴 그냥 습관적 거절이구나.”
이 감각이 생기고 나서 발품 효율이 훨씬 좋아졌습니다.
오늘도 12군데 돌아다녔습니다.
10군데서는 바로 튕기고, 2군데서 계약 했습니다.
영업이 다 그렇죠 뭐.
내일도 신발 닳도록 또 걸어야죠.
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나라면' 이 상황에서 **고객이 스스로 '문제가 없다'고 믿는 현재의 안전지대가 사실은 가장 위험한 곳임을 깨닫게 할 것**입니다.
브랜드 인지도가 낮고 가격이 비싼 상황에서, 단순히 기능 자랑이나 ROI 설명만으로는 '다음에'라는 대답을 피할 수 없습니다.
---
## 나라면 취할 3가지 행동 (판을 뒤집는 질문과 제안)
김민준 매니저님이 "다시 한번 논의해 보겠습니다"라고 말한 직후, 저는 침묵을 깨고 다음과 같은 질문과 제안으로 미팅의 초점을 **'현상 유지의 리스크'**로 완전히 돌릴 것입니다.
### 1. 현상 유지의 **숨겨진 비용 (기회비용)** 도발하기
**행동:** 지금 운영 중인 시스템이 완벽해 보여도, 그 완벽함을 유지하는 데 드는 **'인력의 기회비용'**을 자극합니다.
* **멘트:** "매니저님, 오늘 말씀 들어보니 현재 시스템 운영이 정말 안정적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질문 하나만 드려도 될까요? **혹시 김민준 매니저님과 팀원들이 지금 운영 유지에 매달리는 시간 중, 그룹사의 **미래 성장 동력**이나 **경쟁사와의 격차**를 벌릴 혁신적인 프로젝트에 투입되어야 할 시간은 어느 정도라고 보십니까?** 저희 솔루션은 단순히 장애를 줄이는 게 아니라, 바로 그 **'미래를 위한 시간'**을 벌어드리는 투자입니다."
* **효과:** '문제 없음' $\rightarrow$ **'가장 중요한 것을 놓치고 있음'**으로 인식을 전환시킵니다.
### 2. **브랜드 인지도**를 **'검증된 성과'**로 치환하기
**행동:** 낮은 브랜드 인지도는 강력한 레퍼런스(추천 고객사)로 커버하고, 고객의 고민을 구체적인 데이터로 해결해 줍니다.
* **멘트:** "저희 브랜드 인지도가 낮아 확신이 안 서시는 점 이해합니다. 하지만 저희를 강력하게 추천해주신 $\text{A}$사 ($\text{IT}$팀) 팀장님께 저희가 오늘 말씀드린 가치들이 $\text{A}$사에서는 **'실제로 **$\text{XX}\%$**의 운영 비용 절감과 **$\text{YY}$**일의 신규 서비스 출시 단축'으로 이어졌다는 구체적인 벤치마킹 데이터**를 요청드려도 될까요? 매니저님 팀의 검토 자료에 **'이미 검증된 객관적인 성과'**를 더해드리겠습니다."
* **효과:** 브랜드의 약점 $\rightarrow$ **검증된 성공 사례**로 전환하여 확신을 줍니다.
### 3. **'위험 회피'를 명분으로 다음 단계 확정**하기
**행동:** 내부 논의를 기다리기보다, 고객이 스스로 리스크를 인지할 수 있는 '맞춤형 진단 자료'를 제공할 것을 제안하여 다음 미팅을 선점합니다.
* **멘트:** "매니저님, 내부 논의 시간을 충분히 드리겠습니다. 그 전에 저희가 한 가지만 더 도와드릴 수 있습니다. **'현재 시스템을 유지했을 때 1년 뒤 귀사에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보안 리스크'**와 **'경쟁사와의 격차 리포트'**'를 귀사 환경에 맞춰 시뮬레이션 해드리겠습니다. 이 자료는 순수한 **'위험 회피 및 전략 보고서'**로 활용하실 수 있으며, 저희 솔루션 도입 필요성을 객관적으로 증명할 근거가 될 것입니다. 다음 주 화요일 오후에 이 보고서를 가지고 다시 찾아뵙고 15분만 설명드릴 수 있을까요?"
* **효과:** 미팅 종료 $\rightarrow$ **고객 맞춤형 후속 조치**로 연결하며 **'필요성 논의'의 주도권**을 다시 가져옵니다.10.04 - 잘썼어요10.02
- 나라면, 김 대표님이 언급하신 내부 검토 포인트를 먼저 묻겠습니다.
“대표님, 내부 검토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다루실 부분은 기술적 안정성일까요, 비용일까요?” 같은 질문으로 대화를 열어 두는 거죠.
동시에 과거 이슈에 대한 우려를 덜어드릴 수 있도록 “저희가 이번에 개선한 부분을 공유드려도 될까요?”라고 제안하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검토의 방향을 구체화시키면서 대화를 이어갈 수 있을 겁니다10.02 - 나라면, 김 대표님이 언급하신 내부 검토 포인트를 먼저 묻겠습니다.
“대표님, 내부 검토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다루실 부분은 기술적 안정성일까요, 비용일까요?” 같은 질문으로 대화를 열어 두는 거죠.
동시에 과거 이슈에 대한 우려를 덜어드릴 수 있도록 “저희가 이번에 개선한 부분을 공유드려도 될까요?”라고 제안하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검토의 방향을 구체화시키면서 대화를 이어갈 수 있을 겁니다.10.02 - ddddddd10.01
- ddds10.01
- 제가 놓치고 있던 것을 알게 됐습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08.28